Erythema multiforme - 다형 홍반https://ko.wikipedia.org/wiki/다형_홍반
다형 홍반 (Erythema multiforme)은 "표적 병변"(일반적으로 양손에 나타남)으로 진행하면서 붉은 반점이 나타나는 피부 상태입니다. 이는 감염이나 약물 노출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일종의 홍반입니다.

이 질환은 경미하고 스스로 제한되는 발진부터, 점막을 침범하는 다형 홍반으로 알려진 심각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형태까지 다양합니다. 점막 침범이나 수포의 존재는 중증도를 판단하는 중요한 징후입니다.

- Erythema multiforme minor: 전형적인 표적 또는 말단부에 분포한 융기된 부종성 구진
경미한 형태는 일반적으로 가벼운 가려움증(하지만 가려움증이 심할 수도 있음)과 분홍색‑빨간색 얼룩이 대칭적으로 사지에 나타납니다. 이 경우 7~10일 이내에 발진이 사라지는 것이 보통입니다.

- Erythema multiforme major: 전형적인 표적 또는 하나 이상의 점막을 침범하고 말단부에 분포한 융기된 부종성 구진. 표피 박리는 신체 전체 표면적의 10% 미만을 차지합니다.

치료 ― OTC 의약품
발열(체온 상승)이 동반될 경우 가능한 한 빨리 병원을 방문하십시오.
의심되는 약물은 중단해야 합니다(예: 항생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가려움증이 있을 때는 Cetirizine, Loratadine과 같은 경구용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합니다.
#Cetirizine [Zytec]
#LevoCetirizine [Xyzal]
#Loratadine [Claritin]
☆ AI Dermatology — Free Service
2022년 독일의 Stiftung Warentest 결과에 따르면 ModelDerm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는 유료 원격진료 상담보다 약간 낮았습니다.
  • Erythema multiforme minor ― 병변 중심부가 하얗게 변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 다리의 표적 병변
  • 두드러기는 감별진단으로 간주될 수도 있습니다.
  • 다형 홍반 (Erythema multiforme)의 표적 병변 ― 광범위한 물집을 일으키는 TEN의 초기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 다형 홍반(Erythema multiforme)의 전형적인 양상
  • 라임병도 고려해야 합니다. cf) Bulls eye of Lyme Disease Rash
References Recent Updates in the Treatment of Erythema Multiforme 34577844 
NIH
Erythema multiforme (EM)은 면역반응에 의해 피부와 점막에 뚜렷한 표적 모양의 반점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바이러스 감염, 특히 단순 포진 바이러스 (HSV)나 특정 약물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가 많지만,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급성 EM 치료는 스테로이드 또는 항히스타민제가 함유된 크림을 사용해 증상을 완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재발성 EM 관리에서는 환자 개개인에 맞춘 맞춤형 접근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초기 치료에는 경구와 국소 요법이 모두 포함됩니다. 여기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항바이러스제가 사용됩니다. 국소 치료는 영향을 받은 점막에 고효능 스테로이드 크림 및 용액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항바이러스제에 반응이 없는 경우, 2차 옵션으로 면역억제제, 항생제, 구충제, 항말라리아제 등이 고려됩니다.
Erythema multiforme (EM) is an immune-mediated condition that classically presents with discrete targetoid lesions and can involve both mucosal and cutaneous sites. While EM is typically preceded by viral infections, most notably herpes simplex virus (HSV), and certain medications, a large portion of cases are due to an unidentifiable cause. Treatment for acute EM is focused on relieving symptoms with topical steroids or antihistamines. Treatment for recurrent EM is most successful when tailored to individual patients. First line treatment for recurrent EM includes both systemic and topical therapies. Systemic therapies include corticosteroid therapy and antiviral prophylaxis. Topical therapies include high-potency corticosteroids, and antiseptic or anesthetic solutions for mucosal involvement. Second-line therapies for patients who do not respond to antiviral medications include immunosuppressive agents, antibiotics, anthelmintics, and antimalarials
 Use of steroids for erythema multiforme in children 16353829 
NIH
많은 경우 경증 erythema multiforme은 2~4주 내에 저절로 사라집니다. 점막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상태인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은 최대 6주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는 일반적으로 경미한 경우에 권장되지 않습니다. 심한 다형성 홍반에 스테로이드를 사용해야 하는지는, 해당 치료가 어떤 어린이에게 도움이 되는지를 보여주는 무작위 연구 결과가 없기 때문에 불확실합니다.
In most cases, mild erythema multiforme is self-limited and resolves in 2 to 4 weeks. Stevens-Johnson syndrome is a serious disease that involves the mucous membranes and lasts up to 6 weeks. There is no indication for using steroids for the mild form. Use of steroids for erythema multiforme major is debatable because no randomized studies clearly indicate which children will benefit from this treatment.
 Drug-induced Oral Erythema Multiforme: A Diagnostic Challenge 29363636 
NIH
피부 병변이 없고 전형적인 구강 및 입술 궤양을 보이는 TMP/SMX에 의한 구강 erythema multiforme (EM) 증례를 소개합니다. 이는 다른 구강 궤양성 질환과 구별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환자는 대증 요법과 prednisolone 정제를 투여받았으며, TMP/SMX 치료를 중단한 후 증상이 호전되었습니다.
We report a case of oral erythema multiforme (EM) secondary to TMP/SMX that presented with oral and lip ulcerations typical of EM without any skin lesions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istinguishing them from other ulcerative disorders involving oral cavity. The patient was treated symptomatically and given tablet prednisolone. The condition improved with stoppage of TMP/SMX therapy.
 Erythema Multiforme: Recognition and Management. 31305041
Erythema multiforme은 면역 체계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및 때로는 점막에 나타나는 반응입니다. 일반적으로 표적과 유사한 병변이 나타나며, 단독으로 발생하거나 재발·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병변은 주로 사지, 특히 외부 표면에 대칭적으로 나타납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과 같은 감염뿐 아니라 특정 약물, 예방접종, 자가면역 질환 등이 있습니다. 두드러기와 Erythema multiforme를 구별하는 핵심은 병변의 지속 기간입니다. Erythema multiforme 병변은 최소 7일 이상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반면, 두드러기 병변은 보통 하루 이내에 사라집니다. 또한 Erythema multiforme를 보다 중증인 스티븐스-존 증후군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티븐스-존 증후군은 물집이 동반된 광범위한 홍반성 또는 자색 반점을 특징으로 합니다. Erythema multiforme 치료에는 국소 스테로이드제나 항히스타민제로 증상을 완화하고,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단순 포진 바이러스와 관련된 재발 사례에서는 예방적 항바이러스 치료가 권장됩니다. 심한 점막 침범이 있을 경우 정맥 수액 및 전해질 교환을 위해 입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Erythema multiforme is a reaction involving the skin and sometimes the mucosa, triggered by the immune system. Typically, it manifests as target-like lesions, which may appear isolated, recur, or persist. These lesions usually symmetrically affect the extremities, particularly their outer surfaces. The main causes include infections like herpes simplex virus and Mycoplasma pneumoniae, as well as certain medications, immunizations, and autoimmune diseases. Distinguishing erythema multiforme from urticaria relies on the duration of lesions; erythema multiforme lesions remain fixed for at least seven days, while urticarial lesions often vanish within a day. Although similar, it's crucial to differentiate erythema multiforme from the more severe Stevens-Johnson syndrome, which typically presents widespread erythematous or purpuric macules with blisters. Managing erythema multiforme involves symptomatic relief with topical steroids or antihistamines and addressing the underlying cause. For recurrent cases associated with herpes simplex virus, prophylactic antiviral therapy is recommended. Severe mucosal involvement may necessitate hospitalization for intravenous fluids and electrolyte replacement.